2024년 일본에서 ‘인력난’으로 인한 도산한 건 수는 2013년 이후 최다인 289건(전년 대비 81.7% 증가)에 이르렀다. 대기업 중심으로 진행되는 임금 인상 물결이 중소기업을 압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.
일본 도쿄상공리서치에 따르면, 도산 이유로는 ‘인력난’ 114건(96.5%증가), ‘인건비 급등’이 104건(76.2%증가), ‘직원 퇴직’이 71건(69.0%증가) 차지했으며, 모두 최고치를 기록했다. 특히 무리한 임금 인상으로 인건비 상승을 견디지 못한 도산이 늘었다고 매체는 분석했다.
산업별 인력난 도산 기준으로는 서비스업 외 88건(전년대비 60.0% 증가), 건설업 75건(158.6% 증가), 운수업 69건(76.9% 증가)이었다. 형태별로는 파산이 268건(77.4% 증가)으로 전체의 90% 이상(92.7%)을 차지했으며, 자본금 기준으로는 1천만엔 미만이 186건(전년 대비 91.7% 증가)으로 소영세기업이 대부분을 차지했다.
소·영세기업은 자금력이 취약하고 임금 베이스가 낮아 대기업이나 중견기업과 비슷한 임금 수준, 복리후생을 지원하기 쉽지 않은 데다가 인력난을 겪으며 실적을 회복하기 어려운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어, 향후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.
(취재 기자: 나인아 [email protected])
<저작권자 ⓒ JK Daily,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>